메뉴 건너뛰기

[칼럼] 차세대 인터넷 ‘메타버스’도 인터넷이다

‘메타버스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는 상당히 어렵다. 메타버스의 정의부터 어려운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은 메타버스하면 ‘나’를 표현한 사람 형태의 아바타가 3차원 가상세계에서 움직이는 걸 떠올린다. 이는 메타버스라는 말이 탄생한 배경과 미디어의 영향이다.

메타버스가 3D 아바타로 접속해야 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선입견은 ‘메타버스’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1992년 미국 SF 소설 ‘스노우 크래시’와 2018년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의 영향이 크다. 두 작품은 모두 아바타로 접속하는 온라인 가상세계를 그렸다. 문제는 이런 선입견이 오히려 메타버스의 대중화를 어렵게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메타버스는 결코 어렵지 않다. 절대 복잡하게 생각할 것이 아니다. 메타버스는 ‘차세대 인터넷’이다. 인터넷의 발전된 형태다. 온·오프라인 상호작용이 결국은 메타버스 활동이다.

요즘 인터넷을 가상세계라고 떠올리는 사람은 적다. 식당에 직접 가서 밥을 먹나 배달 앱으로 주문해서 밥을 먹나 같은 음식이 온다. 이런 온·오프라인 상호작용은 이미 생활 속에 녹아들었다. 메타버스는 조금 더 다양하고 풍성한 경험이 가능할 뿐이다. 아바타가 존재하지 않아도 메타버스, 3D가 아니어도 메타버스, 가상현실(VR)이 아니어도 메타버스다.

선입견에 갇히면 사업의 지속이 어렵다. 소설과 영화 속 메타버스를 상상하며 아바타가 돌아다니는 멋진 3D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봐야 낭만에 그친다. 굳이 그 플랫폼을 이용할 이유를 인터넷에 익숙한 이용자에게 만들어줘야 한다. 메타버스가 차세대 인터넷이라서다.

이미 인터넷으로 제품을 주문하면 다음날 택배 상자가 문앞까지 온다. 굳이 3D 아바타로 메타버스에 접속해 매장을 방문하고 아바타에 입혀보고 살펴보고 주문해서 택배로 받는 것보다 기존 방식이 더 빠르고 익숙하다. 아바타와 플랫폼이라는 선입견에서 벗어나야 한다. 기존 인터넷 활동도 메타버스 활동이다. 차세대 인터넷도 인터넷이기 때문이다.

[출처 : 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8/10/2023081002579.html]

  • share